본문 바로가기

교육

고등내신 산출방식, 내신 계산법

2020년 새해가 밝아 오니 아이들도 새학년 새학기에

대한 고민이 많아 지게 되는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중등 학부모인지라 이제 얼마 남지 않은

고등준비를 해야할 것 같아

아이보다 더 조급해 지는 듯 싶습니다.

그래서.. 고등하교 내신 평가방식과

내신 계산법 등을 소개합니다.

 

1. 중등 내신과 고등 내신은 무엇이 다른가

   (내신을 평가하는 시스템)

중학교

(지역별, 평*비평준화 요소에 따라 내신등급 산출 방법이 상이함)

 교과 (중간고사 + 기말고사 + 수행평가)

+ 비교과(출결+ 봉사 + 동아리...) 

+ 가산점수( 행동특성, 상, 임원..)

  

: 과목별 성취도(A, B, C, D), 예체능(A, B, C) 절대평가

: 일반 교과 반영 비율 - 80%

  예체능 - 20%

 

*고등학교(상대평가)

고등학교에서는 등급이 중요합니다.

 등급

%

 1등급

상위 4% 

 2둥급

 4~11% 

 3등급

11~23% 

 4둥급 

23~40% 

 5등급

40~60% 

  6등급

60~77%  

  7등급

77~89% 

  8등급

89~96% 

 9등급

 96~100%

 

또한 학기마다 최종등급을 계산해야 합니다.

 

과목 시수: 1주일동안 그 과목을 배우는 횟수

 

예) 국어 4단위 3등급

     영어 4단위 2등급

     수학 5단위 1등급

 

로 계산하면 됩니다.

 

2019학년도 1학년부터 진로선택과목의 경우

 

 

석차등급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지 않고,

'성취도별 분포비율'을 산출하여 기재하도록 했습니다.

(*3년 동안 3개 과목 이상 이수

:고전읽기, 경제수학, 여행지리 등)

 

또한, 이수 단위가 작은(학기당 1단위)

실험 중심 과목인 '과학탐구실험'은 '석차등급을

산출하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고교내신을 직접계산해주는 경기도교육청 사이트가 있네요..

내신산출프로그램 http://satp.goe.go.kr/pt/gi/ggpt_b03_s0.jsp

 

2. 중등과 고등의 내신공부 차이점은 무엇인가

 

중학교와 고등학교 모두 암기는 아주 중요합니다만

고등학교에서는 고난도 문제의 경우

높은 사고력과 문제해결 능력과 이해력 등을 요구합니다.

특히 수학이 그렇습니다.

상위권.. 최상위권이 되기 위해서는

모의고사문제도 많이풀고

고난도 문제집도 풀면서 문제풀이 능력을

부단히 길러야 합니다.

영어내신도 중학교에 비해 범위가 훨씬 많고

지문량도 많습니다.

그래서 통으로 모두 외우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중요한 요소들 위주로 암기하고

문제풀이 연습도 하면서

어휘, 문법, 구문에 대한 미리 준비되어 있어야

덜 어렵습니다.

국어도 거의 암기이지만 수능 국어는 기초가 있어야

고득점 할 수가 있고

외부지문이 시험에 갑자기 나오는 경우 수능 국어에 대한

대비가 되어 있어야 잘 풀 수가 있습니다.

제 2외국어는 많이 암기하면 됩니다.

시험기간인 경우 기본으로 암기로 숙지하고

반드시 여려 문제집을 풀고

문제풀이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