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개정 고교선택과목관련하여 교육부자료를 통해
일반고를 대상으로 조금더 이해하기 쉽도록
질의 응답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Q 공통과목은 어떤 과목인가요?
A -문이과 구분없이 모든 고등학생들이 배워야 할
필수적인 내용으로 구성하여 기초소양을 함양하고
기초 학력을 보장할 수 있는 과목입니다.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통합사회, 통합과학,
과함탐구실험 등 7개 과목입니다.
Q 선택과목은 어떤 과목인가요?
A -'일반 선택과목'과 '진로 선택과목'으로 구분됩니다.
Q 학생들의 진로 희망에 따라 어떤 과목을 이수할 수
있나요?
A -공통 과목은 모든 학생들이 이수해야 하며,
공통 과목 이수 후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 희망에
따라 선택과목을 이수할 수 있습니다.
-학교에서는 학생의 선택에 따라 진로 선택 과목을
3과목이상 이수 하도록 해야 합니다.
일반 고등학교와 자율 고등학교의 보통 교과 중심으로
편성하되, 필요에 따라 전문 교과의 과목을 개설할 수
있습니다.
진로에 따른 예시)
경제학과를 지원하고자 하는 학생의 경우에는,
1학년 때 공통 과목(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통합사회,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을 이수한 후, 본인이 희망하는
경제학과 지원을 위해 필요한 선택과목을 이수한다.
경제학 공부를 위해서는 인문사회 계열과 달리 수학
교과군에서 '확률과 통계' 또는 '미적분과 적분',
진로 선택의 '경제 수학' 등을 선택할 수 있으며,
탐구 과목으로서 '경제', '사회문제 탐구'등을
이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연과학 전반을 이해하는 논리적 사고력과
융합적 문제해결 신장을 위한 과학 교과의
일반 선택 과목 중에서 한 과목을 이수하는 한편
'과학사'등의 이수를 통해 과학적 소양을 함양할 수 있다.
의학 또는 생명과학 계열을 희망하는 학생의 경우에는,
과학 교과군의 모든 '2'과목을 선택할 필요는 없지만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인만큼 생명에 관계되는
현상을 공부할 수 있는 '생명 과학2',
의학과 바이오산업 발전 등에 따라 대두되는
생명윤리의 중요성과 인간에 대한 철학적 이해를 위한
'생활과 윤리', '철학' 등의 공부를 통해 윤리학적
소양을 함양할 수 있다.
또한 작가가 되고자 하는 학생인 경우에도
인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활동인 만큼 인문학적
소양 함양을 위해 '여행지리', '사회 문화', '세계사'등의
과목뿐만 아니라 '생명과학', '과학사' 등의 과목을 선택
이수하여 과학기술 발전에 대한 식견을 넓히고, 문학적
소양 함양을 위해 '미술(음악)감상과 비평' 등의 선택
과목을 이수할 수 있다.
Q 대학수학능력시험과는 어떻게 연계되나요?
A 2015 개정교육과정은 2018학년도 1학년부터 적용되며,
이에 따른 대학수학능력시험은 2021학년도 대학입시부터
적용됩니다.
Q 대학 진학을 위한 선택적인 문과, 이과 교육은
사라지나요?
A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문*이과 구분 없이
공통과목을 이수한 후, 학생의 진로에 따라 맞춤형으로
과목을 선택하고 이수하도록 하는 교육과정 편성하고
운영하는 것을 지향합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등 선택과목특징<수학 2015개정> (1) | 2020.03.10 |
---|---|
고등 선택과목 특징<국어,영어 2015개정> (0) | 2020.03.09 |
고등 선택과목<과정> (0) | 2020.03.05 |
고등 선택과목 결정하기<일반선택,진로선택 2015개정교육과정> (0) | 2020.03.05 |
고교학점제<06년생, 2025전면시행> (0) | 2020.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