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개정 교육과정 수학교과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일반 선택 과목-
* 수학1, 수학 2
공통 과목인 '수학'을 학습한 후, 더 높은 수준의 수학을
학습하기를 원하는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과목이다.
수학1은 여러가지 자연 현상이나 사회 현상을 해석하는데
필요한 기본 개념인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삼각함수에
대한 내용과 규칙적으로 나열된 수로 나타낼 수 있는
현상을 해석하는데 필요한 수열 및 그 합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수학2는 여러가지 변화 현상을 해석하고 설명할 수 있는
함수의 미분과 적분을 다루는 과목이다.
수학1과 수학2에서 학습한 수학의 지식과 기능은 자신의
적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는 수학 일반선택 과목과
진로선택 과목, 수학 전문 교과 과목을 학습하기 위한
토대가 되고, 자연과학, 공학, 의학뿐만 아니라 경제,
경영학을 포함한 사회과학, 인문학, 예술 및 체육분야를
학습하는 데 기초가 된다.
*미적분
수학1과 수학2를 학습한 후, 더 높은 수학을 학습하기를
원하는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과목이다.
내용은 '수열의 극한, 미분법, 적분법'영역으로 구성된다.
미적분에서 학습한 수학의 지식과 기능은 수학 전문 교과
과목 및 대학 수학 학습의 토대가 되고, 자연과학, 공학,
의학뿐만 아니라 경제, 경영학을 포함한 사회과학 분야를
학습하는 데 기초가 된다.
*확률과 통계
공통 과목인 '수학'을 학습한 후, 더 높은 수준의 수학을
학습하기를 원하는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과목으로
내용은 '경우의 수, 확률, 통계'의 영역으로 구성된다.
확률과 통계에서 학습한 수학의 지식과 기능은 자신의
진로와 적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는 수학 일반선택
과목과 진로선택 과목, 수학 전문 교과 과목을 학습하기
위한 토대가 되고 자연과학, 공학, 의학뿐만 아니라
경제, 경영학을 포함한 사회과학, 인문학, 예술 및
체육분야를 학습하는데 기초가 된다.
-진로 선택 과목-
*기하
공통 과목인 '수학'을 학습한 후, 기하적 관점에서 심화된
수학 지식을 이해하고 기능을 습득하기를 원하는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과목으로 이차곡선, 평면벡터,
공간도형과 공간좌표의 영역으로 구성된다.
기하에서 학습한 후 수학의 지식과 기능은 자연과학,
공학, 의학뿐만 아니라 경제, 경영학을 표함한
사회과학분야를 학습하는 데 기초가 된다.
*실용수학
공통 과목인 '수학'을 학습한 후, 수학이 실생활의 다양한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이해하고 수학을 활용하여
실생활 문제 해결 방법을 알기를 원하는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과목이다.
학습한 수학의 지식과 기능은 생활 주변에서 접하는 여러
가지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기초가 된다.
*경제수학
일반선택 과목인 '수학1'을 학습한 후, 수학의 지식과
기능을 활용하여 경제 및 금융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기를
원하는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과목이다.
학습한 수학 및 경제의 내용은 경제, 경영, 금융을 포함한
사회과학 분야를 학습하는 데 기초가 된다.
* 수학과제탐구
공통과목인 '수학'을 학습한 후, 수학과제 탐구 방법을
익히고 자신의 관심과 흥미에 맞는 수학 과제를 선정하여
탐구하는 경험을 통해 수학과제 탐구 능력을 향상시키기를
원하는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과목이다.
수학과제 탐구의 목적과 절차, 연구 윤리를 학습하고,이를
토대로 이전에 학습한 수학 내용을 더 깊이 탐구하거나
다른 교과와 수학을 융합한 흥미로운 주제를 선택하여
탐구한다.
수학과제탐구에서 습득한 탐구 능력은 자연과학, 공학,
의학뿐만 아니라 경제, 경영학을 포함한 사회과학,
인문학, 예술 및 체육분야를 학습하는 데 기초가 된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등 선택과목<과학 2015개정> (0) | 2020.03.18 |
---|---|
고등 선택과목 특징<사회 2015개정> (0) | 2020.03.12 |
고등 선택과목 특징<국어,영어 2015개정> (0) | 2020.03.09 |
고등 선택과목 이해<교육부 자료 2015개정> (0) | 2020.03.06 |
고등 선택과목<과정> (0) | 2020.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