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연금

국민연금 임의가입 적정 월보험료는 ?

국민연금 임의가입자가 증가하며 한달에 10만원을 낼까? 20만원을 낼까 고민하게 되는데요 국민연금제도에 대해 알게 되면 효율적으로 납부하는 금액에 대해 알 수가 있습니다. 직장 가입자는 고민할 필요가 없지만 지역가입자나 임의가입자는 납부하는 금액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정한 금액을 납부하여 국민연금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받을 수 있다면 좋겠지요

 

 

국민연금은 개인연금과 달리 소득재분배가 되는 연금입니다. 즉 개인연금은 납부한 금액만큼만 받을 수가 있습니다. 

국민연금은소득재분배의 성격이기 때문에 많이 버는 사람은 많이 걷고 적게 버는 사람은 적게 걷어서 비슷하게 지급하게 됩니다. 물론 많이 납부하면 조금 더 받을 수는 있습니다만 소득이 적은 경우에는 상승폭이 더 크지만 소득이 많은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다 보니 적정한 구간이 분명있습니다.

 

 

국민연금 홈페이지 연금예상 수령액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월소득액이 310,000원인에 월보험료 27,900원인 경우 10년간 납부하면 매월 143,610원의 연금을 평생 받게 됩니다.

10년간 납입한 금액은 총 335만원인데, 평균 65~85세까지 20년을 수령한다고 하면 예상 금액은 3,447만원을 받게 됩니다. 환급율은 1000%로 낸 돈의 10배를 받게 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월소득 250만원이라면 환급율은 229%정도이기 때문에 낸 돈의 230배 정도를 받게 됩니다.

가장 소득이 많은 경우 최고 소득 구간은 환급율은 174%정도로 낸돈의 1.7배를 받게 됩니다.

적게 내면 환급률은 높지만 연금액이 적고, 많이 내면 연금액은 많지만 환급률이 떨어집니다.

일반적으로 임의가입 시 적정 금액은 월소득200만원~ 250만원 정도로 월소득 200만원인 경우 월보험료는 18만원, 월소득 250만원인 경우 월 보험료 22만5천원을 납입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월소득 300만원으로 월보험료 27만원씩 10년간 3240만원을 내면 원금의 2배 정도를 받게 되지만..

월소득 150만원으로 월보험료 13만5천원씩 20년간 3240만원을 내면 원금의 3배 정도를 받게 됩니다.

월소득 100만원으로 월보험료 9만원으로 30년간 납부를 하면 원금의 4배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금액을 올려서 10년간 납입하는 것보다 금액은 적어도 납입기간을 늘리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습ㄴ다.

납입원금은 같아도 금액을 줄이고 기간을 늘리는 것이 훨씬 유리합니다.

 

적은 금액을 길게 납부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국민연금가입기간을 길게 하는 방법은 일찍(만 18세) 가입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만 18세에 가입해서 한달치만 내면 가간이 유효합니다.)

과거에 내지 못했던 기간을 추후납무하면 기간이 인정됩니다 .

 

'정보 > 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보료 폭탄- 줄이는 방법  (0) 2020.03.21
기초연금이란?  (0) 2020.03.11